1. virtual box에 CentOS를 깔았다.
까는 방법은 매우 간단
oracle vitual box 깔고 CentOS를 찾고 들어가면 파일이 뜬다.
그 파일은 센토스 광디스크 파일인데 그걸 가지고 버추얼 박스에 열면 바로 가능
GUI는 쓰지 않는다. GUI 쓸거면 그냥 윈도우 열심히 쓰고 말지
최소 설치로 깔고 파티션 설정은 커스텀
swap은 가상 메모리.. 라고 했던가?
그리고 재부팅 하면 리눅스 설치 완료
2. 간단한 실습
root 계정은 윈도우로 치면 관리자 계정
근데 너무 킹왕짱 계정이라 나같은 일반인이 root 계정을 헤집고 다니면 큰일남
그래서 나는 hyeonji 계정을 만들었다.
3. 습득한 명령어
pwd - 현재 나의 위치
ls - 여기 있는 파일을 보여달라 maybe list의 약자?
ls -all(ll) - ll은 ls -all의 단축키 같은 것이다. ls만 했을 때 안보이는 파일도 보여줌
cd - change directory?인가 아무튼 디렉토리를 바꿔줌 ㅎㅎ
cat - 사실 이거 뭔지 잘 모르겠다 cat 파일 하면 그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데 검색해보면 다른 기능도 있는 것 같다.
echo - echo 사랑해 김재중! 치면 사랑해 김재중! 을 출력해준다 근데 한국말은 치는데 너무 오래걸리니까 영어가 편하다(?) 그리고 echo jj > love 라고 치면 jj라는 내용이 담긴 love라는 파일이 생긴다
cat love하면 jj가 나옴 헤헤 ㅋ
like this
4. 위에 있는 캡쳐본은 우분투이다.
센토스를 깔았더니 왜 갑자기 우분투??
라고 생각해주는 사람이 아마도 아무도 없을 것 같지만 그냥 쓰겠다
듣기로는 우분투가 제일 많이 쓰인다고도 하고 여기저기 검색해보면 우분투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더라
물론 레드햇 계열인 센토스도 많이 쓰고 센토스나 우분투나 거기서 거기라는 말도 있음
어차피 리눅스야 기반이 비슷하니까. . .? (리눅스 알못)
어쨌든...
wsl 을 활용한 리눅스를 하기로 했다
wsl 은 윈도우에서 리눅스 실행하는 것인데 마이크로소프트 앱스토어에 우분투가 있다
그래서 무튼 우분투를 하고 있다
참고로 나만 궁금해했을지 모르겠는데
이 우분투 쉘에 exit를 치면 종료가 되고 새로 쉘을 키면 정말 새로 시작을 하길래
나는 이게 일회성인가???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니다 잘 저장되고 있다
저장되고 있는 파일 위치는 모르겠지만 (알아도 거기로 건들면 안된다고 하더라)
아무튼...
바보같은 생각이었나..?ㅎㅎ
'Bioinfor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eQC 설치 오류: pysam install error (python 3.8) (0) | 2022.09.22 |
---|---|
[Linux] (ERR): Expected bowtie2 to be in same directory with bowtie2-align:/usr/local/bin/ 에러 (0) | 2022.09.19 |
RNA-seq raw data 반자동화로 다운받기 (Linux) (0) | 2022.09.08 |
[Bioinformatics] Clustal omega, ESPript (0) | 2021.05.23 |
[LINUX] ssh 서버 접속 (0) | 2021.05.23 |